동짓날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황진이의 시조
동지는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서 밤이 가장 길어 음(陰)이 극에 이르지만, 이날을 계기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여 양(陽)의 기운이 싹트는 날이라 하여 하여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설날 다음가는 ‘작은설’이라 부르며 동짓날에 팥죽 한 그릇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하여 나이만큼 새알심 개수를 넣어 먹고 한 해를 마무리하며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새해를 잘 맞이하라는 의미를 담기도 합니다.
유래 - 붉은 팥은 옛날부터 벽사의 힘이 있는 것으로 믿어 모든 잡귀를 쫓는 데 사용되었다. 『동국세시기』에는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에게 바보 아들이 있었는데 그가 동짓날에 죽어서 역질 귀신이 되어 붉은 팥을 무서워하기 때문에 동짓날 붉은 팥죽을 쑤어서 그를 물리친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조선시대 영조 실록에는.. - 영조 46년(1770) 10월 8일 하교 중에서 "동지 팥죽은 양기가 되살아나는 것을 기원하는 뜻이다. 하지만 귀신을 쫓겠다고 문지방에 팥죽을 뿌리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그만두라고 명했는데 아직까지 팥죽을 뿌리고 있으니 철저히 단속해 잘못된 풍습을 바로잡으라"고되어 있습니다.
[재료 준비] 2인 기준 - 팥 2컵, 쌀 1컵, 물, 찹쌀가루 2컵(새알심), 소금 1 작은 술
동의보감에 따르면 ‘팥은 기, 혈액 순환을 돕는 음식’으로 알려집니다. 팥은 이뇨작용이 뛰어나 몸속 노폐물을 배출하여 숙취해소, 장 기능 활성화로 변비 예방에 도움을 주며 칼륨 성분이 풍부하여 나트륨을 분해를 도와주고 혈관벽을 확장 시켜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고 붓기 제거에도 효과적입니다.
부작용 - 팥죽을 먹을 때 설탕을 넣어 먹으면 사포닌이 파괴되어 소금을 넣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 팥은 찬 성질의 식품으로 몸이 차갑고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좋고 과하게 섭취할 경우 소화기관에 가스가 차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